휴직 신청서는 각 공단에 맞춰 다르게 작성해야 하며, 신청서 양식이 상이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. 이 글에서는 국민연금, 건강보험, 고용산재보험에 따른 휴직 신청서 작성 방법을 자세히 안내합니다.
목차
보이기
국민연금 휴직 신청서
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신청
국민연금의 경우,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신청을 한 장의 신청서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- 신청서 위치: 코드 F2를 눌러 “01”을 선택하면 산전휴가 및 육아휴직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납부 예외일: 휴직 시작일에 해당합니다.
- 납부 재개 예정일: 복직 예정일로 기입하면 됩니다.
건강보험 휴직 신청서
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신청
건강보험의 경우, 출산휴가 기간 동안 납부 예외 신청이 불가능하며, 해당 보험료는 이후 정산됩니다.
- 신청서 위치: 유예 적용일은 “육아휴직” 시작일입니다.
- 고지 유예 해지 예정일: 복직 예정일을 기입합니다.
- 유예 사유: 육아휴직으로 명시합니다.
고용산재보험 휴직 신청서
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신청
고용산재보험의 경우,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에 대해 각각 별도의 신청서를 작성해야 합니다.
- 출산휴가:
- 시작일: 출산휴가 시작일
-
종료일: 출산휴가 종료일 (육아휴직 시작 하루 전)
-
육아휴직:
- 시작일: 육아휴직 시작일
- 종료일: 복직 예정일 하루 전
자주 묻는 질문
질문1: 국민연금 신청서는 어떻게 제출하나요?
국민연금 신청서는 각 공단에 제출하며,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위한 신청서를 한 장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.
질문2: 건강보험의 납부 예외 신청은 언제 가능한가요?
건강보험의 납부 예외 신청은 육아휴직 기간 동안만 가능하며, 출산휴가 기간에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.
이전 글: 일본 키보드에서 한영 변환하는 방법